히젠에서 제작된 채색백자 이외에 어떤 유물들이 함께 부장되어 있었을까요?
화유옹주 묘, 의령원, 인명원에서는 중국에서 제작된 도자기와 공예품, 조선 분원(分院)에서 제작된 백자, 은공예품 등 다양한 유물이 함께 부장되어있었습니다.

<백자호(白磁壺)>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16.1cm, 입지름 7.6cm, 몸통지름 13.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29)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호(白磁壺)>조선시대, 18세기, 높이 16.1cm, 입지름 7.6cm, 몸통지름 13.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29)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보(白磁簠)>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6.5cm, 너비 6.7cm, 길이 9.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0)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보(白磁簠)>조선시대, 18세기, 높이 6.5cm, 너비 6.7cm, 길이 9.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0)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궤(白磁簋)>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2cm, 지름 6.7cm, 최대지름 9.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1)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궤(白磁簋)>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2cm, 지름 6.7cm, 최대지름 9.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1)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수'자문합(白磁靑畫'壽'字文盒)>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3cm, 지름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수'자문합(白磁靑畫'壽'字文盒)>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3cm, 지름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문자문합(白磁靑畫文字文盒)>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cm, 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문자문합(白磁靑畫文字文盒)>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cm, 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화문합(白磁靑畫花文盒)>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cm, 지름 3.3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화문합(白磁靑畫花文盒)>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cm, 지름 3.3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4) ⓒ국립중앙박물관
<백차청화칠보문호(白磁靑畫七寶文壺)>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2cm, 입지름 2.4cm, 몸통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5) ⓒ국립중앙박물관
<백차청화칠보문호(白磁靑畫七寶文壺)>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2cm, 입지름 2.4cm, 몸통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매화문호(白磁靑畫梅花文壺)>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9cm, 입지름 3cm, 몸통지름 4.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6)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매화문호(白磁靑畫梅花文壺)>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9cm, 입지름 3cm, 몸통지름 4.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6)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6cm, 지름 5.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7)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6cm, 지름 5.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7)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잔(白磁彩色藤文盞)>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4.2cm, 입지름 5.1cm, 뚜껑지름 5.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8)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잔(白磁彩色藤文盞)>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4.2cm, 입지름 5.1cm, 뚜껑지름 5.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8) ⓒ국립중앙박물관
<토기시루(土器甑)>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6cm, 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9) ⓒ국립중앙박물관
<토기시루(土器甑)>조선시대, 18세기, 높이 3.6cm, 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39) ⓒ국립중앙박물관
<솥(土器釜)>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2.4cm, 입지름 4.2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0) ⓒ국립중앙박물관
<솥(土器釜)>조선시대, 18세기, 높이 2.4cm, 입지름 4.2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0) ⓒ국립중앙박물관
<동제수적(銅製水滴)>
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8cm, 입지름 4.5cm, 몸통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1) ⓒ국립중앙박물관
<동제수적(銅製水滴)>조선시대, 18세기, 높이 4.8cm, 입지름 4.5cm, 몸통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1) ⓒ국립중앙박물관

<황채장미문병(黃彩薔薇文甁)>
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1.8cm, 밑지름 3cm, 높이 14.8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2) ⓒ국립고궁박물관
<황채장미문병(黃彩薔薇文甁)>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1.8cm, 밑지름 3cm, 높이 14.8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2)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연화문합(白磁靑畫蓮花文盒)>
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10cm, 밑지름 4.3cm, 높이 10.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3)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연화문합(白磁靑畫蓮花文盒)>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10cm, 밑지름 4.3cm, 높이 10.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3)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
에도(江戶)시대, 18세기, 최대지름 10.2cm, 높이 2.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에도(江戶)시대, 18세기, 최대지름 10.2cm, 높이 2.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
에도(江戶)시대, 18세기, 최대지름 4.9cm, 높이 3.7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에도(江戶)시대, 18세기, 최대지름 4.9cm, 높이 3.7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
에도(江戶)시대, 18세기, 입지름 5.9cm, 높이 3.7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6)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잔(白磁靑畫盞)> 에도(江戶)시대, 18세기, 입지름 5.9cm, 높이 3.7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6)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합(白磁靑畫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지름 5.6cm, 높이 3.3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7) ⓒ국립고궁박물관
<백자청화합(白磁靑畫盒)>에도(江戶)시대, 18세기, 지름 5.6cm, 높이 3.3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7) ⓒ국립고궁박물관
<은제과형주전자(銀製瓜形酒煎子)>
조선시대, 18세기, 최대폭 12cm, 높이 15.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9) ⓒ국립고궁박물관
<은제과형주전자(銀製瓜形酒煎子)>조선시대, 18세기, 최대폭 12cm, 높이 15.5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79) ⓒ국립고궁박물관
<도금은담배합(鍍金銀煙草盒)>
조선시대, 18세기, 세로 4.8cm, 가로 9cm, 높이 4.6cm, 국립고궁박물(궁중 380) ⓒ국립고궁박물관
<도금은담배합(鍍金銀煙草盒)>조선시대, 18세기, 세로 4.8cm, 가로 9cm, 높이 4.6cm, 국립고궁박물(궁중 380) ⓒ국립고궁박물관
<녹유리장경각병(綠琉璃長頸角甁)>
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2.3cm, 밑지름 4.7cm, 높이 13.9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6) ⓒ국립고궁박물관
<녹유리장경각병(綠琉璃長頸角甁)>청(淸)시대, 18세기, 입지름 2.3cm, 밑지름 4.7cm, 높이 13.9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6) ⓒ국립고궁박물관
<옥제연리문쌍이잔(玉製練理文雙耳盞)>
청(淸)시대, 18세기, 높이 5.4cm, 최대폭 9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7) ⓒ국립고궁박물관
<옥제연리문쌍이잔(玉製練理文雙耳盞)>청(淸)시대, 18세기, 높이 5.4cm, 최대폭 9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7) ⓒ국립고궁박물관
<옥제쌍이잔(玉製雙耳盞)>
청(淸)시대, 18세기, 높이 3.1cm, 최대폭 11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8) ⓒ국립고궁박물관
<옥제쌍이잔(玉製雙耳盞)>청(淸)시대, 18세기, 높이 3.1cm, 최대폭 11cm, 국립고궁박물관(궁중 388) ⓒ국립고궁박물관

<백자보(白磁簠)>
조선시대, 높이 4.8cm, 길이 9.1cm, 너비 7.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보(白磁簠)>조선시대, 높이 4.8cm, 길이 9.1cm, 너비 7.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궤(白磁簋)>
조선시대, 높이 4.5cm, 지름 7.6cm, 최대지름 9.4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궤(白磁簋)>조선시대, 높이 4.5cm, 지름 7.6cm, 최대지름 9.4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병(白磁甁)>
조선시대, 높이 5.8cm, 입지름 1.2cm, 몸통지름 4.9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병(白磁甁)>조선시대, 높이 5.8cm, 입지름 1.2cm, 몸통지름 4.9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탁잔(白磁托盞)>
조선시대, 전체높이 3.3cm, 높이 2.7cm, 지름 3.9cm, 높이 1.2cm, 받침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탁잔(白磁托盞)>조선시대, 전체높이 3.3cm, 높이 2.7cm, 지름 3.9cm, 높이 1.2cm, 받침지름 6.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합(白磁盒)>
조선시대, 높이 4.8cm, 입지름 3.3cm, 몸통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6)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합(白磁盒)>조선시대, 높이 4.8cm, 입지름 3.3cm, 몸통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6)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향로(白磁香爐)>
조선시대, 높이 6.4cm, 최대지름 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7) ⓒ국립중앙박물관
<백자향로(白磁香爐)>조선시대, 높이 6.4cm, 최대지름 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7)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경(白磁磬)>
조선시대, 길이 8.8cm, 너비 2.7cm, 두께 0.9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8) ⓒ국립중앙박물관
<백자경(白磁磬)>조선시대, 길이 8.8cm, 너비 2.7cm, 두께 0.9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8)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문자문합(白磁靑畫文字文盒)>
조선시대, 높이 2.7cm, 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9)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문자문합(白磁靑畫文字文盒)>조선시대, 높이 2.7cm, 지름 4.2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49)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초화문합(白磁靑畫草花文盒)>
높이 3.3cm, 지름 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0)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초화문합(白磁靑畫草花文盒)>높이 3.3cm, 지름 4.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0)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5cm, 입지름 2.8cm, 바닥지름 2.8cm, 높이 1.2cm, 입지름 2.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1)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5cm, 입지름 2.8cm, 바닥지름 2.8cm, 높이 1.2cm, 입지름 2.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1)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8cm, 입지름 2.5cm, 바닥지름 2.9cm, 높이 1.2cm, 입지름 2.3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8cm, 입지름 2.5cm, 바닥지름 2.9cm, 높이 1.2cm, 입지름 2.3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2)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6cm, 입지름 2.7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호(白磁彩色藤文壺)>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6cm, 입지름 2.7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3)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3cm, 지름 5.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3cm, 지름 5.1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4)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
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9cm, 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채색등나무문합(白磁彩色藤文盒)>에도(江戶)시대, 18세기, 높이 3.9cm, 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5)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화문합(白磁靑畫花文盒)>
높이 4.2cm, 지름 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6) ⓒ국립중앙박물관
<백자청화화문합(白磁靑畫花文盒)>높이 4.2cm, 지름 7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6) ⓒ국립중앙박물관
<은제합(銀製盒)>
조선시대, 높이 3.6cm, 최대지름 5.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7) ⓒ국립중앙박물관
<은제합(銀製盒)>조선시대, 높이 3.6cm, 최대지름 5.8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7) ⓒ국립중앙박물관
<은제수적(銀製水滴)>
조선시대, 높이 6.1cm, 입지름 4.5cm, 몸통지름 7.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8) ⓒ국립중앙박물관
<은제수적(銀製水滴)>조선시대, 높이 6.1cm, 입지름 4.5cm, 몸통지름 7.6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8) ⓒ국립중앙박물관
<은제항아리(銀製壺)>
조선시대, 높이 5.5cm, 입지름 3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9) ⓒ국립중앙박물관
<은제항아리(銀製壺)>조선시대, 높이 5.5cm, 입지름 3cm, 몸통지름 5.5cm, 국립중앙박물관(덕수 6559)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