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에도까지의 풍경들
통신사행의 일원으로서 수행화원들의 업무 중 하나는 사행 중 일본의 경관을 그리는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완성된 그림들은 단순한 풍경의 감상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정보 제공의 목적을 가지기도 합니다. <사로승구도>는 1748년 통신사의 공식수행화원이었던 이성린이 부산에서 에도까지의 여정 사이에 실제로 보았던 다양한 풍경을 묘사한 작품입니다. 총 30폭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당시의 날씨나 계절감 및 지역의 풍습 등을 드러내고 있어 다채롭고, 각 화면마다 우측에 지명이 적혀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사로승구도(槎路勝區圖)>
이성린(李聖麟), 조선시대, 1748년, 종이에 엷은 색, 35.3x67.5cm,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이 작품은 15개의 화면을 이어 붙인 2개의 횡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상권(上卷)에는 산수풍경의 모습이, 하권(下卷)에는 풍속 등 보다 다채로운 모습이 표현되었습니다.
각 지역의 특색에 맞게 구성된 그림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함께 발 맞추어 이동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자아냅니다.
상권(上卷)
: 주로 해로(海路) 사행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는 책
부산(釜山)
1748년 2월 16일1748년 무진년 통신사행의 출항지인 부산의 모습
부산(釜山)1748년 2월 16일1748년 무진년 통신사행의 출항지인 부산의 모습
대마주서산사(對馬州西山寺)
1748년 2월 24일통신사의 숙박지였던 세이산지(西山寺)의 모습
대마주서산사(對馬州西山寺)1748년 2월 24일통신사의 숙박지였던 세이산지(西山寺)의 모습
적간관(赤間關)
1748년 4월 5일
적간관(赤間關)1748년 4월 5일
상관(上關)
1748년 4월 8일
상관(上關)1748년 4월 8일
진화(津和)
1748년 4월 10일
진화(津和)1748년 4월 10일
반대사(盤臺寺)
1748년 4월 15일
반대사(盤臺寺)1748년 4월 15일
야박일비(夜泊日比)
1748년 4월 16일험난한 조류로 인해 히비(日比)의 포구에서 하룻밤 묵었던 일을 묘사한 장면
야박일비(夜泊日比)1748년 4월 16일험난한 조류로 인해 히비(日比)의 포구에서 하룻밤 묵었던 일을 묘사한 장면
우창(牛窓)
1748년 4월 17일
우창(牛窓)1748년 4월 17일
하권(下卷)
: 주로 육로(陸路) 사행의 모습을 기록하고 있는 책
야입대판성(夜入大坂城)
1748년 4월 21일밤 중에 오사카성에 입성하는 장면
야입대판성(夜入大坂城)1748년 4월 21일밤 중에 오사카성에 입성하는 장면
대판성관소남망(大坂城館所南望)
1748년 4월 23일
대판성관소남망(大坂城館所南望)1748년 4월 23일
정포(淀浦)
1748년 5월 2일물을 끌어 올리는 수차(水車)
정포(淀浦)1748년 5월 2일물을 끌어 올리는 수차(水車)
서경본장사북원(西京本長寺北園)
1748년 5월 3일사이쿄(西京) 관소의 정원을 묘사한 장면
서경본장사북원(西京本長寺北園)1748년 5월 3일사이쿄(西京) 관소의 정원을 묘사한 장면
비파호세다교(琵琶湖勢多橋)
1748년 5월 4일
비파호세다교(琵琶湖勢多橋)1748년 5월 4일
월천주교(越川舟橋)
1748년 5월 7일배를 이어 다리를 만든 주교(舟橋)의 모습
월천주교(越川舟橋)1748년 5월 7일배를 이어 다리를 만든 주교(舟橋)의 모습
금절하(金絶河)
1748년 5월 11일
금절하(金絶河)1748년 5월 11일
고탁택십리교하(高琢澤十里茭荷)
1748년 5월 11일
고탁택십리교하(高琢澤十里茭荷)1748년 5월 11일
섭대정천(涉大定川)
1748년 5월 15일현지 일본인들에게 업혀서 오이가와(大定川)를 건너는 장면
섭대정천(涉大定川)1748년 5월 15일현지 일본인들에게 업혀서 오이가와(大定川)를 건너는 장면
청견사(清見寺)
1748년 5월 17일
청견사(清見寺)1748년 5월 17일
길원관6월17일망견부사산설(吉原館六月十七日望見富士山雪)
1748년 5월 17일(6월 17일)오시하라(吉原)의 관소에서 바라본 후지산(富士山)에 눈이 내린 모습
길원관6월17일망견부사산설(吉原館六月十七日望見富士山雪)1748년 5월 17일(6월 17일)오시하라(吉原)의 관소에서 바라본 후지산(富士山)에 눈이 내린 모습
입강호(入江戶)
1748년 5월 21일에도에 도착하여 들어가는 모습
입강호(入江戶)1748년 5월 21일에도에 도착하여 들어가는 모습
상근령상관임대택(箱根嶺上館臨大澤)
1748년 5월 18일
상근령상관임대택(箱根嶺上館臨大澤)1748년 5월 18일
관백연향(關自讌享)
1748년 6월 1일조선 국왕의 국서를 일본의 관백에게 전달하는 장면
관백연향(關自讌享)1748년 6월 1일조선 국왕의 국서를 일본의 관백에게 전달하는 장면
* <입강호(入江戶)>와 <상근령상관임대택(箱根嶺上館臨大澤)>의 화면은 서로 순서가 바뀌어 있는 상태로 전해지고 있습니다.